본문 바로가기

글쓰기/교육,학교생활

원만한 인간관계를 위한 의사소통 능력

728x90
반응형
SMALL

1. 사람들은 어떤 목소리를 좋아할까?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목소리가 높은 정치인보다

낮은 목소리의 정치인에게  투표를 하게 된다고 한다. 

 

사람들은 보통 부드럽고 따뜻하며 안정적인 목소리를 좋아한다.

 

2.    호감스러운 목소리로 바꾸는 방법이 있을까?

 

  사람들에게 호응받는 아나운서나 방송인들은 어떤 노력을 할까?

 

  목소리를 호감스럽게 바꾸기 위해

 목소리 트레이너와 함께 발성기술을 향상하고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기도 한다. 

 

 목소리를 호감스럽게 바꾸기 위해서는

긴장을 풀고 몸의 자세와 호흡을 조절하는 기술이 중요하다. 

 

3. 말을 잘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는 무엇일까?

 

말을 잘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요소가 필요한데 

 

첫째, 명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 

 

트럼프의 영어 연설을 들어보면 

미국인이라면 누구나 알아들을 수 있는 

쉬운 언어로 표현한다. 

 

둘째, 듣는 사람들의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내용과 이야기구조가 필요하다. 

 

셋째, 목소리와 발음을 명확하게 해야 하고

적절한 강세와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학교에서 학생들을 지도할 때도

 꼭 학생들이 알아할 단어에서 목소리를 강하게 하여

 학생들이 쉽게 인식하고 입력되도록 한다. 

 

넷째, 대화를 이끌고 상대방의 말과 반응을

주의 깊게 관찰하여 듣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요소들을 연습하고 향상하는 것이

말을 잘하는데 도움이 된다. 

 

4.  상대방이 불쾌한 행동을 하거나

  원치 않는 행동을 할 때 어떻게 말해야 할까? 

 

 

이러할 때도 기분 상하지 않게 말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를 위해 몇 가지 전략을 말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의 감정을 강조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나는 네가 너무 자주 전화해서 불편해"라고 말하는 것보다

"  네가 너무 자주 전화를 하니까 

내가 중요한 일을 하는 중인데  방해가 된다"라고

말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둘째, 상황을 긍정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고민한다.

 

 예를 들어 

" 지금은 중요한 일이 있어 자주 전화를 받을 수 없어 "

" 5시쯤에  10분 정도 전화받을 수 있는 상황이니

그때 전화를 주면 좋겠어"라고 협력적인 제안을 할 수 있다. 

 

셋째, 상대의 감정을 이해하고 존중한다. 

       상대방의 입장을 고려하고 이해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넷째, 이야기할 때 상대방을 비난하지 않고 대신

        상황을 이해하고 함께 해결책을

       찾으려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 중요하다.

 

5.  상대방이 당신의 감정을

       존중해 주지 않으면 어떻게 말해야 할까?

 

 상대가 당신의 감정을 존중해 주지 않으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를 표현할 수 있다. 

 

-   내 감정을 이해해 주지 않는다는 느낌이 들어,

   내가 느끼는 것을 네가 알아주고 이해해 주었으면 좋겠어.

 

- 내 감정을 존중해주어야 한다고 생각해

   우리는 서로를 이해하고 서로 힘이 되어주는 관계가 되어야 해

 

- 내가 말하려는 것을 무시하지 말아 줬으면 좋겠어

   네 감정만큼이나 내 감정도 중요해. 

 

- 우리는 서로의 감정을 존중하고

   서로 이해해 주는 관계가 되어야 해,

 

-   내가 느끼는 것을 네가 신경 써주지 않으면

    서로에게 큰 상처를 줄 수가 있어.

 

이러한 접근 방법은 상대방과 소통하며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6.  서로 사이좋게 원만한 인간관계를 원하지만

     상대방의 성격이 까칠하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첫째, 이해와 인내

      까칠한 사람은 내면에 감춰진 트라우마나 상처

        또는 다른 이유가 있을 수 있다. 

 

 그들의 배경과 경험을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인내심을 갖고 대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건강한 소통

      까칠한 사람과의 대화는 서로의 감정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건강한 경계를 유지하려면

 서로 솔직하고 개방적으로 의견을 나누는 것이 중요하다.

 

 브라이언은 여자친구를 사귈 때 차마 말을 못 하고

여자 친구의 입냄새 때문에 일부러 까칠하게 대했다고 한다. 

 

 그러므로,   까칠한 태도로 말하는 친구가 있다면

왜 그렇게 태도를 까칠하게 하는지 이유를 물어서

해결책을 찾아 개선해 나가야 한다. 

 

 

셋째, 긍정적인 접근

      긍정적이고 친절한 태도로 접근하면

      까칠한 사람도 더욱 마음을 열 수 있다.

 

  그들의 긍정적인 면을 감지하고

인정해 주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브라이언은 차마 입냄새가 난다는 말을 못 하고

일부러 까칠하게 대해서 헤어지게 되었다고 한다. 

 

넷째, 유연성과 타협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하고

     필요한 경우 타협할 수 있어야 한다.

 

어떤 문제에 대해서는

각자가 소통하고 합의할 수 있는

해결책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다섯째, 자기 보호

       때로는 자신의 감정과 경계를 존중하고 보호해야 한다.

      상대방의 까칠한 태도가 자신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때는

      적절한 자기 보호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러한 접근법은 까칠한 사람과의 관계를 더 원만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7. 늘 당신을 부정적으로 보고 당신을 평가절하해서 말하는 사람에게 어떻게 대해야 할까?

 

   어쩌면 당신을 부정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더 나은 존재라는 것을 부각하기 위해

그런 말을 하는 수도 있다.

 

 상대방이 자신을 열등하게 생각하거나

자신의 위상을 유지하기 위해

다른 사람을 평가절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행동은 종종 상대방의 자아존중심이나

자신에 대한 불안, 자신을 억압하려는 욕구 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상대방이 자신을 깎아내리거나 평가절하하는 이유는

항상 열등감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것은 아니다.

 

때로는 상대방의 행동은

그들의 성격, 경험, 심리적 상태 등

다양한 요인에서 비롯될 수 있다. 

 

늘 당신을 부정적인 시각으로  보면서

말하는 사람에게 대처하는 것은

상황과 관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접근법을 고려할 수 있다.

 

1. 자기 존중 유지:

상대방의 부정적인 시각이나 말에도

자기 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 자신의 가치와 자신감을 잃지 않고

상대방의 말을 받아들이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2. 의도파악

왜 상대방이 부정적으로 행동하는지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그들의 내면에 감춰진 이유나 문제가 있는지 이해하고

이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3. 평화로운 대응:

상대방의 부정적인 행동에 감정적으로 반응하지 않고

차분하고 평화로운 태도로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 상황을 더 악화시키지 않고

상대방과의 대화를 조절하려는 노력을 보인다. 

 

4. 긍정적인 영향:

상대방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려고 노력한다.

 

부정적인 상황에서도

자신의 긍정적인 태도와 행동으로

상대방에게 영감을 줄 수 있다. 

 

5. 건강한 경계 설정: 

상대방의 부정적인 태도가 자신에게 해를 끼칠 경우,

적절한 경계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필요하다면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상대방과의 거리를 유지하거나

대화를 줄이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위의 접근법은 부정적으로 행동하는 상대방과의 관계를 관리하고 상황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