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전화금융사기예방

건강한 삶을 위하여 2024. 6. 12. 20:12
728x90
반응형
SMALL

오늘 새마을금고에 갔었는데요, 거기에서 전화금융사기 예방에 관한 글이 있길래  공유해 봅니다. 

전화 금융사기 주요 수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1. 수사기관이나 금융기관 사칭

경찰, 검찰, 금감원, 금융기관 등을 사칭하여 개인정보, 계좌이체를 요구하거나 우편함, 물품 보관함 등에 넣어두면 보호해 주겠다고 거짓말을 합니다. 

예를 들어, "예금을 안전하게 보호해 줄 테니 불러주는 계좌로 이체하세요."라고 말한다.  

 

피해 예방 방법으로는

전화로 개인정보, 금융거래정보(OTP카드, 은행 보안카드 번호)를 요구하거나, 예금보호를 해주겠다면서 안전계좌로 이체 및 우편함, 지하철 물품 보관함 등에 현금을 넣어두라고 한다면 100% 사기입니다. 

 

2. 대출빙자

싼 이자로 대출이 가능하다며 신용등급 조정비, 설정비, 공증비, 수수료 등을 먼저 입금하라고 요구합니다. 

 

 

피해 예방 방법으로는

대출 실행과 각종 면목으로 수수료를 먼저 입금하라고 요구하면 100% 사기입니다. 

이미 유출된 대출 신청 정보를 이용하여 대출을 필요로 하는 사람의 거래 은행 등을 사칭하여 접근하기 때문에 특히 유의가 필요합니다. 

 

3. 납치 협박, 합의금, 등록금 등을 빙자한 사기

 당신의 자녀가 납치되었다.  교통사고를 냈다, 대학에 수시모집에 추가합격했다고 속여 자녀 몸값, 교통사고 합의금, 대학 등록급, 동창회비, 종친회비 납부 등을 요구합니다.  

 

피해예방 밥법으로는

개인정보를 미리 알고 접근하는 경우에도 내용의 사실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납치협박 사기 전화의 경우에도 경찰은 납치사건과 동일하게 수사하므로 반드시 112에 신고해야 합니다. 

 

4. 사이트 접속 유도

가짜 공공기관 사이트에 접속하게 하여 개인정보, 금융거래정보를 입력하게 한 후 인터넷뱅킹으로 돈을 빼갑니다. 

예을 들어, 사기범은

" 보안승급을 위해 주민등록 번호, 계좌번호, 보안카드 번호 전체를 입력해 주세요."라고 한다.

이렇게

공공기관 사이트에 접속시켜 보안카드번호 전체입력, OTP생성번호 입력 등 과도한 금융거래정보를 요구하면 100% 사기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